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는 하부에 장착, 진화 활동 시 발화 부위에 소화액을 직접 분사하기 어렵기 때문에 초기 대응에 한계 봉착
‘주수관창’은 구조적으로 차량의 하부에 직접 살수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자동차 화재 시 발화 부위에 직접 살수 가능
· 전기자동차 화재 시 발화 부위에 직접 살수 가능
· 바퀴가 달려 있어 차량 하부에 쉽게 투입 가능
· 초기 대응으로 화재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 최소화
· 질식소화포와 함께 사용시 효율 극대화